주재원 3

해외주재원 후, 한국 복귀. 초기 정착 과정

몇 년 동안 해외에 거주하고 한국으로 복귀할 때 첫 한달은 세팅을 하느라 바쁘고 초기 지출이 크다. 내가 지냈던 동남아의 12월은 여름(우기)인데 한국은 겨울이 한창이라 체감상 엄청 춥게 느껴진다. 계절이 바뀌어 복귀를 하기 때문에 건강 관리와 계절에 맞는 옷 준비가 일단 필수. 그리고 일년에 한번씩 한국을 오고 가고 했지만, 4-5년 가량 묵혀둔 겨울 옷들이기에 일부 옷들의 정리 및 한국에서 새 옷들의 구매가 필요하고, 아이들이 훌쩍 성장해서 가기 때문에 자녀 관련 의류는 하나부터 열까지 다 새로 구입 해야 한다. 그리고 겨울 이불들도 한국에서 처리가 쉽지 않아 상태가 좋지 않으면 미리 다 버리고 오고(현재, 종량제 봉투 100리터 단종, 맥스 75리터는 19kg 무게 제한) 한국와서 새로 구입하는 것..

한국일상 2025.02.24

해외주재원 와이프의 삶은?

아이 학교와 거주지가 결정되면 큰 산은 넘었다. 그리고 한국에서 주재지로 컨테이너 이사까지 끝내고 나면 이제 정말 정착기가 시작이 된다(살면서 해외 이사를 포함해서 얼마나 이사를 많이 다녔는지! 하지만 난 정리를 좋아한다. 이사 다닐 때마다 묵은 짐 정리하는 것도 큰 기쁨이다. 미니멀리즘을 선호한다) 남편은 일하느라 매일 바쁘고, 아이들은 학교에 적응하느라 바쁘다. 학기 초엔 아이의 적응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고, 나 또한 어떤 정보를 놓칠새라 촉각을 곤두세우고 학교 사이트 정보와 메일을 꼼꼼하게 읽어 보느라 초창기 적응기엔 시간이 금방 흘러간다. 초기 정착이 끝나고 급한 일들이 끝나면 이제 정말 나만의 시간이 생기게 된다. 한국에서 바쁘게 열심히 살아왔던 사람들이라면 특히 직업이 있어서 일하고 오셨던 ..

해외국제학교 2025.01.14

리터니, 주재원 고학년 자녀들이 한국으로 귀국할 때 학교 선택지는?

보통 해외주재원은 4-5년 정도 예상하고 발령이 난다.회사 상황에 따라 후임이 없을 경우 연장이 되기도 하고, 한국에 포지션이 나면 일찍 귀국하기도 한다. 그래서 "언제까지 여기 있어요?", "언제 한국으로 돌아가나요?", "귀국 시 또 다른 해외로 가나요?" 등 이런 저런 질문들을 서로 많이 물어본다. 그러기에 우리는 한국인이지만 교민들 사회에 완벽히 속하지도 않고, 잠시 지내다 가는 사람들이기에 다소 뜬 마음으로 몇년을 보내게 된다. 해외 국제학교 한국학생들의 구성을 보면, 1. 교민  2. 대사관  3. 주재원  4.잠깐 사업차 체류 그리고 5. 현지채용으로 지내시는 분 등 다양하다. 그래서 킨더 때부터 쭉 하이스쿨까지 다니는 교민 친구도 있는가 하면(12특례), 시기가 잘 맞아서 고교 1년을 포함..

해외국제학교 2025.01.14